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1/07 22:50:21
Name 새벽의사수
Subject MBC게임 히어로의 우승을 축하하면서...
* 2003년에 PGR에 가입해놓고, 여지껏 글 하나 제대로 안 써봤는데 오늘 결승의 감동을 놓치고 싶지 않아 졸문을 올려봅니다. 제 블로그에 쓴 글인지라 독백투인데다가 '선수' 호칭도 없습니다만, 양해 부탁드려요. :)



#1.

 스타크래프트를 TV에서 방송하는 걸 처음 본 것부터 따지면 나도 꽤나 오래된 축에 들어간다. 워크래프트 2를 즐겼던 탓에 스타 오리지널이 나오자마자 플레이했었고, 무심코 텔레비전을 켰을 때 itv에서 간간히 해주던 스타 경기를 누가 누군지도 모른 채 보곤 했으니까. 하지만 본격적으로 스타리그를 마니악하게 챙겨보기 시작한 것은 2002-2003년 파나소닉배부터였다. 당시의 '절대강자'였던 이윤열의 팬이 됨과 동시에, 나는 2005년까지 나의 고등학교 시절 3년을 스타리그와 함께 했다.

 미래를 장담할 수 없는 이 바닥에, 많은 젊은이들은 게임에 대한 열정과 실력에 대한 자부심 그리고 보다 강해지겠다는 욕구만을 버팀목 삼아 거침 없이 뛰어들었고, 나는 내가 섣불리 뛰어들 수 없었던 꿈을 향한 질주를 그들에게서 발견했다. 하나하나 차근차근 게이머라는 직업의 입지를 다져가고, 대중적으로도 보다 인정받을 수 있는 프로 게임계를 위해, 게이머와 팬들은 물론 방송사마저도 한 마음이 되어 달려나갔던 그 시절의 스타판은, 학교-집이라는 정해진 길만을 걸어가던 내게 설령 대리만족에 불과할지라도 너무나도 매력적인 꿈의 색채를 띠고 있었다.

 그랬던 스타리그가, 2006년에는 전 팀이 창단을 이루고, 억대 연봉 선수를 손가락으로 꼽기 힘들 만큼 발전했다. 한 경기 한 경기 끝까지 긴장감을 늦출 수 없었던 게임의 감동은 늘어난 경기 수만큼 늘어난 상황평준화된 실력들 때문에 줄어들었고, 그와 더불어 방송에 갓 등장한 신인들의 ID마저 외우고 있을 정도로 열정적이었던 스타리그에 대한 내 관심 또한 줄어들었다.

 한동안 스타리그를 멀리했다. 대학이란 새로운 사회에 부딪힌 탓도 있었고, 내가 좋아했던 선수들은 모두 올드 게이머가 되어 하나 둘씩 이 바닥을 떠난 것 때문이기도 했고, 내가 주목했던 신인들은 이제 더 이상 신인이 아닌 중견급 선수가 되었다는 이유도 있었다. 선수들의 게임에 대한 이해는 더 이상 깊어질 수 없을 만큼 전체적으로 깊어져서, 생판 모르는 신인들이 너무나도 강했던 과거의 선수들을 손쉽게 격침시켰다. 더블, 더블... '수비형'이 고개를 들면서 직접 플레이하는 게임 자체에 대한 흥미도 떨어졌다. 나는 2년여 동안 열심히 연마해온 스타크래프트를, 생각날 때나 간간히 하는 선에서 그만두었다.



#2.

 한 번 식어버린 열정은 좀처럼 회복되지 않았다. PGR21에 들르는 목적이 게임 관련글이 아니라 유머 게시판을 보기 위한 것으로 바뀌었다. 국가 대표 월드컵 경기보다 가슴 졸이며 지켜보았던 이윤열의 늘어가는 패배에도 무덤덤해졌다. 대박 경기도 챙겨보기보다는, 그저 경기 결과만을 확인했다. '누가 이겼구나...' 혹은 '누가 졌구나...'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었다. 스타리그는 나의 어린 날의 추억 한 켠에 간직될 것 같았다.

 하지만 시간이 남아서, 자취의 외로움을 달래고자 무심하게 VOD로 간간히 다시 보기 시작한 스타리그에서 나는 다시 한 번 꿈의 빛을 발견했다. 곧 30대가 다가오는 맏형 임요환의 제대 후에도 프로게이머를 계속하겠다는 약속에서, 3회 우승의 영광을 불의의 사고로 세상을 뜬 아버지께 바치는 이윤열의 눈물에서, 팀이 창단될 때까지 보다 좋은 대우를 전부 뿌리치고 꿋꿋하게 GO와 함께 한 서지훈의 도도한 표정에서, 팀의 위기 상황에서 극적인 승리를 한 뒤 벌벌 떨면서도 치켜든 박지호의 엄지손가락에서, 파릇파릇하던 GO의 막내곰 시절을 지나 '통합 지존'의 자리에 올라선 마재윤의 담담한 자존심에서...

 그랬다. 스타크래프트는 이미 내게 게임이 아니었다. 말 그대로 게임 그 이상의 무엇이었다. 오늘의 결승전에서도, 내심 CJ를 응원하긴 했지만 게임 내용과 승패는 큰 문제로 여겨지지 않았다. 더 이상 누가 어떻게 재밌게 플레이를 했고, 누가 어떻게 완벽한 플레이를 했는지가 감동을 불러일으키는 주된 요소가 아니었다. 스나이핑을 당해도 깔끔하게 승리하는 마재윤의 침착한 자부심이, 파일런 하나로 승부를 가른 박지호의 승부사 기질이, 극심한 부진과 비관적인 예상을 모두 박살내는 듯한 박성준의 환한 웃음이 감동이었다. 패배한 뒤 CJ의 안타까운 모습과, 고생 끝에 우승한 MBC게임 히어로의 기쁜 모습 모두가 감동이었다. 아마도 '해적단'으로 불렸던 POS 시절부터 MBC게임의 팬이었을 여성팬들의 환희의 눈물과, 끝까지 진행에 힘쓰는 김철민 캐스터의 쉰 목소리가 감동이었다.

 그래, 그래서 나는 스타리그를 계속 사랑해 왔던 것이다. 판이 앞으로 커지든 말든, '이스포츠? 스타뿐이면서!'라는 비아냥이 터져나오든 말든, 프로리그 주5일제가 논란이 되든 말든, 나는 그들의 꿈빛 열정을 예전만큼 정열적으로는 아닐지라도, 찬찬히 지켜보는 선에서라도 한 발자국씩 쫓아가 볼 거다. 그들 모두의 꿈에 박수를 보내는 것밖에, 지금은 달리 방법이 없긴 하지만.

제목에 이어, 다시 한 번 MBC게임 히어로팀의 승리를 축하합니다. :)
좋은 경기 펼쳐준 양 팀의 선수들에게 박수를 보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체념토스
07/01/07 22:54
수정 아이콘
아 정말 모든것이 감동이였죠...

MBC 우승후... 팬분들의 반응보고 살짝 눈물 나올뻔 -_-;;
07/01/07 22:58
수정 아이콘
엠비씨 게임 우승 축하합니다^^ 늦게 들어와서 뒷부분밖에 못 봤지만..
아까 마지막 경기 할때쯤이었나요. mbc뉴스에서 오늘경기를 다뤄주더군요. 최고의 프로스포츠는? 이런 제목으로.. 다른 프로스포츠와의 비교와 함께 오늘 인천에 모인 관중들을 보여주면서 e-sports를 꽤 비중있게 다뤘습니다. 9시뉴스에 나온건 처음인것 같은데 전에도 있었나요?
mbc게임히어로즈가 올라가서 좀더 신경을 쓴것 같기도 하고..
앞으로 히어로즈가 더 잘해주면 공중파에서 다뤄지는 빈도가 늘어날려나요 하하
새벽의사수
07/01/07 23:04
수정 아이콘
체념토스님, 저는 그 때는 물론이고, 박성준 선수가 웃으면서 달려나갔던 때도 살짝 눈물 나올 뻔 했습니다. -_-;;
07/01/07 23:08
수정 아이콘
동감입니다..
어느 선수하나 사랑스럽지 않은 선수가 없어 걱정일 정도..
더 응원하는 팀이 있지만, 지더라도 그 선수들 좋아하는 모습에 기분은 너무나 좋구요..
금쥐수달
07/01/07 23:08
수정 아이콘
국가 대표 월드컵 경기보다 가슴 졸이며 지켜보았던 이윤열의 늘어가는 패배에도 무덤덤해졌다. 대박 경기도 챙겨보기보다는, 그저 경기 결과만을 확인했다. '누가 이겼구나...' 혹은 '누가 졌구나...'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었다.

지금은 거의 이 과정으로 넘어온 저입니다....
어쩔수 없죠... 고3은 공부해야죠 ㅠ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8543 TL과의 인터뷰 TeamLiquid, meet PgR21.com [7] 항즐이5302 07/01/10 5302 0
28539 팬까페 연합 클랜4차리그 1주차 경기 결과 [14] 박효진4141 07/01/10 4141 0
28538 개인적으로 꼽은 2006 E-Sports 10대 사건(7) - 슈퍼파이트 [3] The Siria4324 07/01/10 4324 0
28537 성전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55] 파이어볼6875 07/01/10 6875 0
28536 [sylent의 B급칼럼] ‘마재윤’임에도 불구하고 [24] sylent8811 07/01/10 8811 0
28535 롱기누스2 과연 타맵과 무엇이 다른가. [17] 청수선생5893 07/01/10 5893 0
28534 함께 쓰는 E-Sports사(11) - 최대한 열전. [2] The Siria4561 07/01/09 4561 0
28532 개인적으로 꼽은 2006 E-Sports 10대 사건(6) - 국제화의 위기 [2] The Siria4870 07/01/09 4870 0
28531 과연 롱기누스는 아카디아의 전철을 밟을것인가? [49] 선택과실신5331 07/01/09 5331 0
28530 미스테리한 그녀는 스타크 고수 <마흔일곱번째 이야기> [7] 창이♡3972 07/01/09 3972 0
28529 이번 MSL 진출전! 기대되는 매치! 투신 VS 사신! 쌍신전! [19] SKY924010 07/01/09 4010 0
28527 슈퍼파이트 또 하나의 가능성 - 제3대 4대천왕 [37] 마술피리4950 07/01/09 4950 0
28525 2006 GRAND FINAL 예상 [32] 처음느낌4453 07/01/09 4453 0
28522 개인적으로 꼽은 2006 E-Sports 10대 사건(5) - 노재욱과 류경현 [7] The Siria4983 07/01/09 4983 0
28521 [PHOTO]2007.01.07 MBC게임HERO 영웅이 되다 [36] 오렌지포인트4840 07/01/09 4840 0
28520 제4회 슈퍼파이트 매치업? [47] 마술피리6073 07/01/09 6073 0
28518 안녕히 계세요. E-SPORTS 초고수를 위한 문제지 [24] 삭제됨4354 07/01/09 4354 0
28517 개인적으로 꼽은 2006 E-Sports 10대 사건(4) - 개인리그 vs 프로리그(?) [1] The Siria4259 07/01/09 4259 0
28515 보기만해도 기분이 좋은 박상현 캐스터 ^^ [19] 왕초보로템매4614 07/01/09 4614 0
28513 핵사트론 드림팀 창단당시 사진. [18] 信主NISSI6800 07/01/09 6800 0
28512 The Captain Drake_The POS_MBC game Heros.. [35] kimera5428 07/01/09 5428 0
28510 아직까지도 이런 억울한일이 베틀넷하면서 있네요.ㅠㅠ [12] Mu_Juk_3985 07/01/09 3985 0
28508 각 팀~ 혹은 방송사를 향한 개인적인 소망 [4] 달려라4090 07/01/09 409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