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04/18 22:42:32
Name 비와이
File #1 0418223827167948.jpg (1.63 MB), Download : 64
File #2 0418223859250649.jpg (1.84 MB), Download : 45
출처 https://blog.naver.com/sarakiller/221915944236
Subject [서브컬쳐] 현 서브컬쳐 시장이 중간값 웹툰작가들에게 미치는 영향.jpg





최근엔 웹소설이 웹툰화되는 경우가 많이 보이는데 이런 상황이 있었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유니언스
21/04/18 22:46
수정 아이콘
어느정도 스토리가 잡혀있기 때문에 그만큼 부담도 적고 제로베이스에서 시작하지 않는다는게 워낙 크니까요.
독자 입장에서도 한번 소설로 읽어봤다면 그림체만 취향을 벗어나지 않으면 지뢰작을 피할수 있는 시간이 줄기도 하고
파란짬뽕
21/04/18 22:49
수정 아이콘
사소한거긴한데 본문에서 언급한 귀멸의 칼날이 애니메이션으로 떡상한건 사실이나 애니메이션전에도 꽤나 인기많았습니다.
원작이 인기있었으니 애니메이션화한거고 애니메이션화 안했어도 묻힐일은 없는 작품이었습니다.
유니언스
21/04/18 22:52
수정 아이콘
하지만 애니화가 아니었으면 이정도로 뜨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기도 하죠.
저기 명단에 나온 만화들은 그만큼 당대 아이콘인 만화들이었으까요.
21/04/18 22:55
수정 아이콘
지금 찾아보니까 애니화 직전 14권 권당 판매량 15만부...밖에 안됐네요.
저기 기준은 신드롬급이었냐 아니었냐를 말하는듯
AaronJudge99
21/04/18 22:54
수정 아이콘
데스노트....그립읍니다...
21/04/19 09:45
수정 아이콘
진짜 데스노트가 요즘 나왔다면 성공 못했을지도.... 있으려나..
아 근데 이 글 적고 아무리 생각해봐도 만화의 70%가 텍스트인데도 재밌는데... 크크크크
及時雨
21/04/18 22:55
수정 아이콘
코미컬라이즈가 진짜 양날의 검인거 같아요.
신인 입장에서는 거대 IP에 편승할 수 있는 기회이긴 한데, 정작 자기 작품으로 남는 건 아니다보니...
21/04/18 22:56
수정 아이콘
관절 작가 데뷔작인 레드후드 정말 공들여 그렸는데 인기가 별로 없어서 좀 슬프다고 한걸 본 기억이...
스위치 메이커
21/04/18 22:56
수정 아이콘
창작자가 독자의 체력 운운하는 건 실력이 없는거죠....;;

다른 건 모르겠는데 저런 말은 창작자로서의 본인의 가치를 본인이 깎아먹는 거에요. 딱히 맞는 분석도 아닌 것 같구요.
21/04/19 01:58
수정 아이콘
웹소설 쪽만 봐도 독자들 체력 떨어진건 명백하죠. 한 2~3화만 빌드업 들어가도 못 참는 독자들 천지인데..
라임오렌지나무
21/04/18 22:56
수정 아이콘
(수정됨) 레진 이후로 웹툰작가들은 왜 뭔말을 해도 고깝게 들리는지 크크. 전 서로 윈윈 관계로 봅니다. 검증된 작품들 위주로 웹툰화 하다보니 스토리에서 지뢰 밟은 경우는 거의 없고 오히려 그림이 구려서 원작은 꽤 괜찮은 편인데 웹툰 인기가 좌초된 경우는 꽤 있더군요.
술라 펠릭스
21/04/18 22:58
수정 아이콘
나름 그래도 레진 관절님 작품은 갈라테아 딜레마와 레드 후드는 다 결재 했는데

신작은 도저히 손이 안감.
흔솔략
21/04/18 23:02
수정 아이콘
창작자가 저렇게 "요즘독자들" 운운하는거 별로 좋게 안보입니다.
실제상황입니다
21/04/18 23:0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소수 취향을 위한 공간도 많아야 한다고는 봅니다.
다양성이나 퀄리티 측면에서 이런 독과점 시장 위주, 메인 플랫폼 위주는 별로 긍정적이지 않죠.
This-Plus
21/04/18 23:16
수정 아이콘
내수시장이 더 크면 좋은데...
21/04/18 23:51
수정 아이콘
보통 소수취향의 웹툰은 하위권에 있는데 되려 잡지마냥 페이지 화수 제한 없는 웹툰이니까 연재가 보장되는 측면도 큽니다. 메인플랫폼이라서 연재되는 소수취향 웹툰도 적지 않고요.
실제상황입니다
21/04/18 23:54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것도 맞긴 하죠. 그걸로 충분하냐 하면 저는 아니라고 생각하지만요. 결국 메인플랫폼이라는 한계도 있겠구요. 어찌 보면 공중파 드라마랑 비슷합니다. 피드백이 연재 도중에 시시때때로 즉각 이루어지고 그만큼 매우 반응적이게 되죠. 사회적 압박이나 플랫폼 내부의 제약도 크구요.
21/04/18 23:10
수정 아이콘
권 단위로 보던 시절과 1/25 혹은 1/20의 형태로 운용되는 현재의 연재 시장에서 호흡은 아무래도 다를 수 밖에 없죠.
근데 이게 질적 하락을 일으킨다는 이야기는 딱히 공감이..
부질없는닉네임
21/04/18 23:11
수정 아이콘
일개 소비자의 입장에선 보기에 일일연재나 댓글로 실시간 피드백되는 시스템이 큰 변화를 미치게 된 것 같습니다.(제 개인적인 취향에는 안 맞지만, 일단 시장 자체가 더 커지긴 했죠)
말하자면 요즘 독자의 문제가 아니라 결국 시스템 자체의 문제죠.
긴 호흡으로 복선 회수하고 지금까지 모아온 거 원기옥 터트리기보다는 그냥 그 순간의 임팩트와 즉각적인 반응에 주목하게 되니깐요.
사이다라도 사실 총량으로 치면 전자가 더 클텐데, 즉각적으로 그때그때 섭취하게 되는 건 후자구요.
만약 독자 입장에서 전개가 지지부진하면 어차피 넘치는 게 다른 작품이니 그걸로 갈아타게 되고.
크레토스
21/04/18 23:14
수정 아이콘
웹툰 시장이 한창 커나가던 시절이나 웹툰 갯수가 얼마 안되서 다 볼만 하니 스토리로만 승부하는 후진 작화 웹툰도 봐보고 그러는 거지.. 지금처럼 연재중인 작품이 500개 1000개는 되는 시기에 작화 후진 작품이 주목 못 받게 되는 건 당연하죠. 그리고 아직도 한국 웹툰 독자 정도면 일본만화 독자들에 비하면 후진 작화에 많이 관대한 편 같은데요.
21/04/18 23:15
수정 아이콘
글에도 트렌드라는게 있기는 하지만 명작은 여전히 명작입니다.
웹소설도 보고 있지만 재미있게 봤던 장편 소설은 다시 읽어도 재미있고
그 긴 호흡이 부답이 되지 않는 명작들이 있습니다.

트렌드에만 민감하게 반응한다는건 그런 글을 쓸 수 없는 자신을 시인하는 거죠.
21/04/18 23:26
수정 아이콘
글 관련 학과라 주변에 글먹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진짜 명작은 스토리가 좀 부담될정도로 깊거나 천천히 흘러가도 뜨는 건 당연한데, 그 턱의 높이가 진짜 어마어마할 정도로 다릅니다. 소위 sss급 류의 소설이 적당히 기본만 해도 글먹가능성이 있다면 정통판타지류는 기본 그 이상을 해줘도 힘들고, 글먹이 되는 턱문을 넘어도 벌어들이는 수익에서 어마어마한 차이가 납니다.
21/04/18 23:36
수정 아이콘
뭐 그건 어쩔 수 없는거죠.
HA클러스터
21/04/18 23:27
수정 아이콘
관절작가 작품 나름 마음에 들었는데 레진코믹스라서 손절했던 기억이 나는군요.
꿈꾸는드래곤
21/04/18 23:30
수정 아이콘
방금 저 작가님 만화 엔딩보고 " 전개 날림 장난아니네..."라고 감상이 들었는데 유게에 마침 그 작가의 푸념이 올라와있네요.
1등급 저지방 우유
21/04/18 23:32
수정 아이콘
흐음
저는 나혼렙 보는데, 웹툰화가 잘되어서 역으로 웹소설을 찾아봤거든요.
뭐 흔한스토리긴 하지만 초반에 작화때문에 본거라서
그 외에 맛보기로 보여주는 웹툰들은 본문말처럼 온갖 성적판타지만을 만족시켜주는거라...
내용이 거기서 거기더라구요. 물론 지금 보는 나혼렙도 어디서 많이 본듯한 내용이긴 하지만
황금경 엘드리치
21/04/18 23:38
수정 아이콘
솔직히 요즘 트렌드 한국이나 일본이나 맘에는 안 듭니다.
힐링이고 뭐고 위기가 없으니까 클라이맥스도 없어요.
주인공이 지질 않으니까 긴장감도 없어서..
21/04/18 23:43
수정 아이콘
괜히 최근에 속도가 느린 몇몇 작품들이 인기를 끈게 아니죠.
물론 글빨 없으면 그것도 무용지물입니다만..
필력 자신있으면 예전처럼 글을 써도 먹힐겁니다. 다만 연재 방법은 좀 뜯어고치고 해야되죠.
21/04/18 23:58
수정 아이콘
창작자가 독자 탓 쉽게 해선 안되는거 맞긴한데 요즘 웹툰을 보는 독자들 취향에 맞는 웹툰 연재하면 인터넷 커뮤니티에선 또 일진 폭력물이냐 또 로맨스냐 요즘 웹툰 퀄 왜이러냐 이런말 백퍼 나올겁니다. 더 복서정도가 드문 예외일뿐. 그만큼 취향이 많이 달라졌어요. 강철의 연금술사도 완성도는 인정하는데 노잼이라는 반응도 심심치 않게 올라오는 상황이죠

어쨌건 에이전시입장에선 저 취향에 맞춘걸 내야 투자비용을 회수 할 수 있으니 그런걸 원할테고 작가입장에선 타협을 하던지, 아님 죄다 커버할 수 있을만한 웹툰을 그릴 각오를 하고, 장기연재각을 잡아서 중위권으로 도약할 준비를 하던가 해야할거에요. 덤으로 이목을 끌만한 썸네일 작업부터 중요해지죠
그 닉네임
21/04/19 00:17
수정 아이콘
독자들 체력 점점 낮아지는건 팩트 아닌가요?
심지어 이건 만화뿐만 아니라
문화계 전체가 해당되는 현상같아요.
영화도 길어서 안보고, 유튜브로 요약된 결말 있음 시청
그 유튜브마저도 틱톡한테 파이 뺏기니
부랴부랴 #shorts 만듬
두둥등장
21/04/19 00:59
수정 아이콘
공감합니다
노래조차도 요즘 아이돌노래는 3분밑인노래 많아요
10년전만해도 4분넘는 노래도 많았는데 전반적으로 더 빠른 전개를 원하는건 전방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죠
21/04/19 00:37
수정 아이콘
체력 운운해도 명작은 호흡 길어도 떠요. 초대박은 안될 수 있지만요.
저런 말 하는 작가들 중 진짜 스토리 짜임새 있게 잘짜는 사람은 드물죠. 어디서 긁어와서 겉보기에 있어보이게만 짜는거죠.
스토리 잘짜는 것 보다 작화나 설정을 좋게 그리는게 훨씬 더 쉬우니까 없어보이는 것 뿐입니다.
21/04/19 01:46
수정 아이콘
글쎄요. 칼부림이 탑 5에 드는걸 본적이 없어서 면작응 무조건 뜬다는 말은 공감 못하겠습니다
21/04/19 09:05
수정 아이콘
요즘은 그래도 칼부림 많이 올라왔죠. 예전에는 거의 항상 봇5 안에 들었던 거 같은데....
21/04/19 12:33
수정 아이콘
아.. 제가 잘못 이야기했네요
웹툰 주 독자층에게 충분한 오락성을 제공하면서, 작품성 있는 으로 바꿔야겠네요.

제가 안보던 작품이라서 찾아봤는데, 사극+흑백이던데 너무 마이너 장르죠. 이건 호흡 이전의 문제입니다.

그리고 네이버에서 탑5면 초대박이죠.
뻐꾸기둘
21/04/19 00:3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작가가 품 들이는게 별로 의미가 없는 시장이라는 분석은 투정 같은게 아니라 정확한 분석입니다. 시장 구조가 그런 상황을 더 가속화 시키고 있고.

웹소 좀 보는 사람들은 다 공감할걸요. 주6연재하는 웹소도 빌드업에 1화 이상 할애하면 댓글창 곱창 나는데 웹툰은 더 심할 수밖에 없죠.
12년째도피중
21/04/19 00:41
수정 아이콘
지금의 연재방법으로는 힘들다 싶어요.
니들이 못해서 그래라고 쉽게 말씀들하실 수 있겠지만 지금 저 뽕빨물들 그리는 작가들이 원래 무슨 작품들로 데뷔했는지 아시면 놀라실거에요.
역사만화, 인문학 만화, SF만화, 고딕 환타지 만화, 최근에 뵌 분 중에는 과거 꽤 영광스러웠던 시절이 있는 분도 있었네요. 이 분들이 다 ..... 그렇고 그런 것들을 새파란 PD들의 조정을 거쳐 이세계물 원작, 혹은 19금 웹툰들을 그립니다.
이전 작을 보면 "이런 작품을 그리던 사람이 어떻게 지금 이런 쓰레기같은 물건을 만들지?"싶은 사람도 있어요. 원작이 쓰레기...아니 사실 원작도 그렇게 쓰레기까지는 아닌, 오히려 장르적으론 괜찮은 물건인데 나름 괜찮은 작품을 그리던 작가를 만나서 더 쓰레기가 되는 상황을 종종 보곤 하거든요. 씁쓸해요. 그래도 당장에 캐쉬가 들어오니까. 그게 회당 20만원, 30만원이라도 일단은 캐쉬가 들어오니까 하는거에요.
깃털달린뱀
21/04/19 01:02
수정 아이콘
뭐, 원래 수요와 공급의 법칙이란 게 딱히 소수 문화를 존속시키고 이런 건 전혀 없어서...
그냥 딱 팔리는 건 생산되고 팔리지 않는 건 생산되지 않아요.
다른 재화 같은 경우는 그냥 잘팔리는 게 좋은 물건이다로 대충 뭉개고 넘어가도 괜찮은데 문화 예술 쪽은 그렇게만 하고 넘어가기는 어렵죠.
내년엔아마독수리
21/04/19 01:05
수정 아이콘
야마칸의 망작 프랙탈을 코미컬라이즈하던 만화가가 노잼이라 못해먹겠다고 푸념하던 게 생각나네요
이쥴레이
21/04/19 01:12
수정 아이콘
현재 두작품이 대단한거죠.

나혼자만의레벨업
전지적독자시점

원작은 완결이 되었고 웹툰이 대 흥행중이니..
원작이 원래 인기 있었는데 웹툰화로 더 대박을 쳤죠.
전지적독자시점은 네이버 웹툰되자마자 소설 역시
1달만에 16억이상 벌었고 매달 고정 억단위로 버니..
웹툰은 아마 더 벌거라고 봅니다.
라라 안티포바
21/04/19 01:18
수정 아이콘
독자들 인내심은 바닥이긴해요.
독자들 수준이 문제가 아니라, 개인방송 시대에 온갖 놀거리가 넘쳐 흘러서 대체재가 너무 많습니다.
저도 예전에는 참고 볼만한 작품들도
지금은 사소한 부분이 거슬려도 '이거 참고 볼바엔 다른작품보거나 다른거하지' 이런생각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1/04/19 01:32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론 VVIP부터 SSS 겹쳐서 쓰는거 별로인데
강조하려고 반복하는게 맞죠?
제가 무지한건가요 진짜 뜻이있어서 쓰는건가요?
다시마두장
21/04/19 03:49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론 일본에서 소아온이 떴을 때 큰 위화감을 느꼈었습니다.
한국에선 이미 2000년대 초반에 이미 유행한 후 비판을 받던 이고깽, 게임소설이 서브컬쳐의 본고장인 저기서 뜨기 시작한다고??
그보다 과거에 닷핵같은 작품이 없었던 것도 아니고 일본에 온라인게임 붐이 뒤늦게 시작된 것도 있긴 했겠지만 아니나 다를까 그 이후로 같은 패턴의 다른 작품들이 쏟아지기 시작하더군요. 뭔가 프로/아마추어를 가리지 않고 업계 전체가 지향점으로 삼던 저 동네가 저렇게 되고나니까 그간 동경해왔던 게 허무하기도 하고, 사실은 쟤들도 별거 없었던건가 하는 생각도 들고 그랬네요.

제 주위에 김성모 만화나 슬램덩크나 같은 수준으로 취급하며 휙휙 넘겨 읽는 친구가 있는 걸 보면 결국 쉬이 읽히고 자극점을 잘 찾아주는 컨텐츠로 더 넓은 시장을 공략하는 게 상업적으로는 맞는 방향이라 생각하긴 하는데... 역시 좀 씁쓸합니다.
말랑요괴
21/04/19 07:32
수정 아이콘
독자들의 체력 문제라기보다는 일일연재 시스템의 문제라 생각해요...
terralunar
21/04/19 08:18
수정 아이콘
일본쪽은 웹툰이 아니라 주간/월간지 스타일 만화의 웹 연재 플랫폼이 늘어나다 보니, 점프작품도 안보고 킹세계물 스포츠물 배틀물도 4컷도 잘 안보는 엄청 마이너한 취향인데 오히려 요즈음이 더 볼거 많다 느낍니다. 히트작이 아니라 본문에서 말하는 (인지도상) 중간이나 그 밑 작가의 작품군이라면 여전히 탄탄해요. 북워커에 한달 20만원은 갖다 바치는거 같습니다 흐흐. 물론 그 웹연재 플랫폼 작품의 1/3은 제목부터 한숨나오는 킹세계물 코미컬라이즈판이지만 그 덕분에 제가 보는 만화도 연재되는 거니까요
아밀다
21/04/19 08:19
수정 아이콘
독자 탓하지 말란 건 대중무오설 뭐 그런 건가요. 사이다패스가 늘어나 사이다 작품 위주로 시장이 옮겨가고 다른 작품에는 적응을 못 하는 건 다들 동의하는 사실 아니었나.
21/04/19 10:45
수정 아이콘
웹툰 독자만 생각하면 사이다물, 일진물로 가면 되는데 웹 커뮤니티에서 서브컬쳐 즐기는 사람들은 요즘 웹툰은 사이다물, 일진물만 나온다 이러니까요. 좀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웹상 반응이랑 웹툰 독자간 반응이 많이 괴리되어있습니다. 둘다 만족하면 그만이긴한데 쉬운일은 아니죠. 작가역량이긴하지만 운도 어느정도 작용하기도 하고요
예슈화쏭
21/04/19 08:33
수정 아이콘
가뭄의 초단비가 답입니다. 코미컬라이즈에서 끝날게 아니라 애니메이트 애니메이션화를 해야되요
물론 기반이없는 우리나라는 힘들겠지요..
페스티
21/04/19 08:55
수정 아이콘
외국에 팔아서 파이를 키우면 될 듯
리자몽
21/04/19 10:44
수정 아이콘
막줄이 핵심이네요

만화가 성공하면 원작자가 칭송받고, 만화가 실패하면 만화가가 욕받이 되고

원작이 있는 모든 작품에서 이 말은 진리 그 자체입니다
이츠씽
21/04/19 11:47
수정 아이콘
저는 다르게 생각합니다. 독자의 체력이 낮아진게 아니라 체력이 낮은 독자가 웹소설 업계의 새 파이가 된 것이죠.

전개가 빠른 글이 점점 업계 표준이 되어가는것은 사실이지만 대여점 때랑 비교하면 지금 웹소설 시장과는 규모차이가 크다고 생각합니다.

고종, 군밤의 왕 같은 소설도 뷰 수 1000대가 유지 되는걸 보면 인정받는 글은 여전히 인정받습니다.
21/04/19 15:46
수정 아이콘
수백년 전부터 요즘 독자들은 ~~한 것만 본다는 소위 '꼰대적'인 시각은 늘 있어왔죠. 옛날 조선시대 소설이 한창 범람할 때 몇몇 선비들이 '요즘 사람들은 도학도 없고 더럽고 음란한 글만 본다'고 까던 거하고 다를 바 없어보이긴 합니다.
시대의 흐름과 변화를 마냥 부정적이라고 생각하면 뒤처지기 마련이죠. 서브컬쳐물이 일반대중에게 무시당하는 거엔 발끈하면서 정작 그 안에서 갈라치기 하고 요즘 유행하는 트렌드를 부정적으로 보는 건 좀...
혹등고래
21/04/19 18:31
수정 아이콘
카연갤에서 오랫동안 애정가지고 지켜봐온 작가가 있었는데
네이버 데뷔하고는 여태까지완 전혀다른 느낌의 학폭물 그리더군요..
어느정도 자리잡고 나면 자기만화 그려주려니 하고 기다리고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20152 [서브컬쳐] 캡틴 아메리카가 가진 진짜 초능력 [10] 나주꿀8052 21/04/21 8052
420145 [서브컬쳐] 의외로 커뮤니티 대통합인 것 [24] 판을흔들어라8522 21/04/21 8522
420144 [서브컬쳐] 우마무스메 표절 논란.jpg [10] KOS-MOS7327 21/04/21 7327
420093 [서브컬쳐] [스포 주의]원펀맨 리메이크 최신화 충격 전개 [24] 라쇼9947 21/04/20 9947
420047 [서브컬쳐] 후배가 놀리는.manhwa [9] KOS-MOS6358 21/04/20 6358
420017 [서브컬쳐] 히사이시 조의 음악 듣고 가세요 [3] 피잘모모5514 21/04/20 5514
420015 [서브컬쳐] 그게 뭔데 [8] 류수정6011 21/04/20 6011
419991 [서브컬쳐] [MCU]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 첫번째 예고편.ytb [36] VictoryFood7676 21/04/20 7676
419984 [서브컬쳐] 전화받는...manhwa [10] 추천7401 21/04/19 7401
419976 [서브컬쳐] 신세기 사이버 우마무스메 [33] 리로이 스미스10020 21/04/19 10020
419962 [서브컬쳐] 새로운 것이 유행하는.manhwa KOS-MOS5785 21/04/19 5785
419954 [서브컬쳐] 동서양 신화 읽기 중간시험 과제 대체 [15] 황금경 엘드리치7345 21/04/19 7345
419935 [서브컬쳐] 자기 작품이 왜 팔리는지 의문인 작가. [20] 삭제됨9277 21/04/19 9277
419929 [서브컬쳐] 여자친구가 맹한.manhwa [7] KOS-MOS7527 21/04/19 7527
419885 [서브컬쳐] 현 서브컬쳐 시장이 중간값 웹툰작가들에게 미치는 영향.jpg [53] 비와이12277 21/04/18 12277
419884 [서브컬쳐] 파워레인저 어쎔블! [16] 카루오스5819 21/04/18 5819
419851 [서브컬쳐] 스타크래프트 선수에 비유해본 우마무스메 [11] 류지나8077 21/04/18 8077
419835 [서브컬쳐] 제목에 최● 단어 사용을 금지한 일본.manga [17] 삭제됨9431 21/04/18 9431
419832 [서브컬쳐] 짬에서 나오는 바이브 [6] roqur5581 21/04/18 5581
419807 [서브컬쳐] 반려동물 키우는 사람에겐 추천하지 못하는 애니메이션 [10] 한뫼소8664 21/04/18 8664
419781 [서브컬쳐] 런천미트 안 먹는.eu [8] KOS-MOS10096 21/04/17 10096
419727 [서브컬쳐] 불꽃의 임신 전학생.manhwa [2] 추천9213 21/04/17 9213
419698 [서브컬쳐] 버려진 아기 왕자를 주워다 키운 마녀의 최후.jpg [7] AGRS8063 21/04/16 806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