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3/07 10:19:01
Name 1등급 저지방 우유
Subject [질문] 제가 혈압약을 먹고 있으면서 문득 궁금한게 ..
수축기 혈압이 120mmHg 미만, 이완기 혈압이 80mmHg 미만인 경우
이 수치를 정상으로 보고 의원에서 처방을 하잖아요?

그런데 피지알 평균 나이의 제가 저보다 어린 조카 그리고 저보다 나이 많은 부모님과 비교했을때
상대적으로 젊은 혹은 어린 사람들은 혈관도 쌩쌩할테고,
반대로 나이든 사람들은 노화가 진행이 되었을텐데
저 수치가 절대값이 될 수가 있나 궁금하더라구요

무조건 저 수치를 기준으로 두고 저것보다 높으면 남녀노소 환경불문 무조건
"넌 고혈압이야!" 하고 단정을 짓는 건지
아니면 어린이는 조금 더 수치가 낮고, 노인들은 수치가 높고 그런 기준이 있는지가 궁금해서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Lord Be Goja
25/03/07 10:29
수정 아이콘
1.서양의 연구에서 혈압이 140을 넘으면 뇌졸중, 심근경색, 심부전의 확률이 유의미하게 증가했기 때문에 첫 기준이 정해진거라고 합니다
(동양인은 좀더 낮은 혈압부터 증가했기 때문에 기준치가 낮은것)

2.연령과 관계없이 적절한 혈관의 상태는 동일하기 때문에 같은 기준치를 쓰는거같네요.
물론 연령이 위로 갈수록 기준치를 벗어나는 사람이 증가하겠지만
그건 연령이 증가하면 관리가 필요해지는 사람이 늘어난다고 보면 될거같습니다
전체 인원의 평균치로 기준을 정한게 아니라 혈관이 정상작동하는 기준으로 만든거니까요
25/03/07 10:43
수정 아이콘
(수정됨) 똑같은 140 이라도 20대의 140 이랑 60 대의 140 은 위험도 측면에서 좀 다르다고 의사도 이야기 하더군요
그래서 똑같은 140이라도 20대는 처방 안할때도 있고 40대 넘어가면 처방 한다고 하구요.
manymaster
25/03/07 11:10
수정 아이콘
당화혈색소는 어르신들께는 기준을 널널하게 잡는 것과는 반대네요. 뒤집어 말하면 당뇨와는 달리 고혈압은 영향을 즉각적이라고 보는 것이겠고요.
설탕물
25/03/08 22:15
수정 아이콘
일단 제가 알기로는요.

현대의학도 인체에 대해서 완벽하게 아는게 아닙니다. 그러니까, 기본적인 생물학적 지식은 거의 정확하지만(적혈구 백혈구가 있고 어떻게 만들어지고 이런 것들은) 결국 개개인에 대해서는, 만든지 30년, 50년, 70년 씩이나 노후화됐고 개인별로 사용환경이 크게 다른데 안을 뜯어볼 수도 없는 복잡한 기계라서 자세한 파악이 어렵습니다. 그래서 많은 부분을 통계적으로 보고 있고, 많은 사람들의 오해와 다르게 통계적으로 안전성과 효과가 입증만 되었다면 약의 작용과정이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몰라도 되고요.

아무튼 이런 면에서, 결국 개인의 아주 자세한 상태에 따라서 최적의 혈압을 찾을 수 없기에, 그냥 통계적으로 사망률 높아지고 안좋더라 하는 수준을 피하는 거로 알고 있습니다. 과학이 더욱 많이 발전하고 잉여생산물이 훨씬 많은 수준이 되어서 완벽한 개인 맞춤형 치료가 생긴다면 각자 혈압 관리를 다르게 할 수 있을거 같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0036 [질문] 사진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ai 추천 부탁드립니다 [4] 키르히아이스3163 25/03/15 3163
180035 [질문] 달러 중장기 헷징 수단으로 어떤 게 있을까요 [4] 고흐의해바라기3155 25/03/15 3155
180034 [질문]  그래픽카드 RX 9070 XT 구입예정입니다. [13] 자가타이칸3211 25/03/15 3211
180033 [질문] 핸드폰 촬영대 추천받습니다. [4] 원장4043 25/03/14 4043
180032 [질문] 본토 마라 관련 음식 질문 [17] 모찌피치모찌피치3987 25/03/14 3987
180031 [질문] "~붕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38] 기무라탈리야5834 25/03/14 5834
180030 [질문] 휴대폰 1mbps 속도로 chatgpt 음성서비스 괜찮을까요? [6] will3873 25/03/14 3873
180029 [삭제예정] 세무사가 증여및상속 이와관련된 대출상환같은것도 상담 가능한가요? [6] 삭제됨4893 25/03/13 4893
180028 [질문] 노트북 내부 케이블 빼는 방법 [2] 사이프리드3487 25/03/13 3487
180027 [질문] kbo는 1군 2군 승격 개념이 없나요? [13] 떡국떡3798 25/03/13 3798
180026 [질문] 일본어 초보일때 볼 수 있는 드라마 추천 부탁드려요 [11] 콩순이2573 25/03/13 2573
180025 [질문] 혹시 대형TV(75인치 이상)를 메인 모니터로 사용하시는분 계신가요? [20] theo3382 25/03/13 3382
180024 [질문] 생활팁 질문입니다. [4] 장헌이도2133 25/03/13 2133
180023 [질문] 홋카이도 운전 관련 질문드립니다. [12] 루크레티아1800 25/03/13 1800
180022 [질문] MG손해보험 실비보험 가입자는 이제 어떻게 대응해야할까요? [7] 국힙원탑뉴진스5334 25/03/13 5334
180021 [질문] 집이 전체적으로 어두운데 조명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8] 민서1829 25/03/13 1829
180020 [질문] 식당 카드기기가 이상할 때 대처법 궁금합니다 [19] 앙몬드2977 25/03/13 2977
180019 [질문] 임플란트했는데 일반식 먹어도될까요. [14] 8억빠1923 25/03/13 1923
180018 [질문] 게이밍 노트북 사양 질문 있습니다 [8] 시무룩2449 25/03/12 2449
180017 [질문]  이정도의 사양으로 이륙해도 될까요? [1] 미키맨틀2347 25/03/12 2347
180016 [질문] 동영상 파일 내용을(강의) 텍스트로 요약해주는 AI가 있을까요? [2] 체크카드2370 25/03/12 2370
180015 [질문] 요식업 자영업자분들께 배달 주문 관련 질문 드립니다 [17] Rsunny2796 25/03/12 2796
180014 [질문] 본인 아이에게 누군가 존예라고 한다면? [67] 윌슨 블레이드4566 25/03/12 456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