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9/11/24 15:03:34
Name 물맛이좋아요
Link #1 펨코
Subject [스포츠] 시속 160km가 넘는 변화구



via Gfycat



휘네..휘어..

누가봐도 변화구..

최고 구속 105마일(169km/h)의 싱커(!)를 던지는 조던 힉스입니다.

체프먼이 나이들면서 구속이 좀 떨어지고 있는 상태라서 현존 최고 구속의 파이어볼러로 손꼽히는 선수죠.

지금 부상중인데 얼른 다시 돌아와서 불같은 공들을 던져줬으면..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inister
19/11/24 15:07
수정 아이콘
잭 브리튼이랑 힉스가 싱커 장인 투 탑인데, 힉스로선 아쉬운 한 해였죠
바카스
19/11/24 15:09
수정 아이콘
두번째 공처럼 컨트롤 안 잡힐 때가 많나요?
Sinister
19/11/24 15:11
수정 아이콘
엄청요
바카스
19/11/24 15:54
수정 아이콘
딱히 중용되긴 어렵겠네요ㅜㅜ
Sinister
19/11/24 15:56
수정 아이콘
아뇨. 이미 마무리입니다.
No justice
19/11/24 15:16
수정 아이콘
보기만 해도 제팔꿈치가 다 아프네요ㅜㅜ
이정재
19/11/24 15:59
수정 아이콘
원래 패스트볼은 변하죠
그래서 이제 직구라는 표현을 안쓰는거고
차라리꽉눌러붙을
19/11/24 16:01
수정 아이콘
저건 그립이 다른 것 닽은 느낌이...
이정재
19/11/24 16:08
수정 아이콘
그래서 싱커를 싱킹패스트볼이라 하는데
이걸 변화구라고 분류하는사람도 있고
패스트볼이 우선이라하는 사람도 있고 그렇죠
투심과의 경계가 애매모호해져서 더욱 헷갈리는것도 있고...
StayAway
19/11/24 17:39
수정 아이콘
싱커와 투심은 사실상 동종이라고 보는 시선이 대세로 자리잡는 모양이더군요.
차라리꽉눌러붙을
19/11/24 17:44
수정 아이콘
헉 저는 이때까지 역 슬라이더 느낌으로 잡아채는줄 알았는데...
안프로
19/11/24 16:12
수정 아이콘
와... 제가 야구 4시간동안 보는거 고역이라 이해가 안가는 쪽인데
저런 공을 뿌리는 투수라면 찾아 보고 싶을 정도네요?

저런 메이저 괴물 투수들의 자원은 어디서 오는건가요
일본처럼 학교시스템이 잘 돼 있는건가
뭔가 미국에서 중고생이 야구하는 이미지가 선뜻 안떠오르는데
19/11/24 16:16
수정 아이콘
미국 중고생이 야구 많이 하기도 하고, 저런 파이어볼러들은 중남미에서도 많이 나오죠.
안프로
19/11/24 16:22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하긴 아무리 외부자원이 많아도 학교가 어느정도 베이스일수밖에 없겠군요
마그너스
19/11/24 16:16
수정 아이콘
투구 메카니즘의 변화인건지 근력이 향상되는건지 투수들이 예전보다 전반적으로 구속이 상승하네요
19/11/24 19:09
수정 아이콘
미국은 저렇게 미친 구속을 가진 선수가늘어나는추세고 일본도 프리미어 보니까 150넘는 국대에 뽑힐만한 투수들이 꽤 많던데 우리나라는 평균적으로 구속높은 투수가 더 줄어든 느낌이 들어요 에전에는 최대성 엄정욱 이런 애들이라도 있었는데 왜이럴까요 혹사로 치면 고시엔있는 일본이 더 심할텐데
19/11/24 20:31
수정 아이콘
요즘은 150km도 제구가 안되면(최소한 세컨피치는 커맨드가 되어야...) 다 두들겨 맞는 시대인지라 속도가 빨라도 2군에 수납되어 있기 마련이죠.

(평속 151의 고우석도 슬라이더 제구 안먹어주면 그냥 맞거나 장작만 쌓다가 내려오기 일쑤입니다.
19/11/24 21:58
수정 아이콘
그건 동의하는데 왜 우리나라만 유독 구속이 낮은지에 대한 대답과는 좀 다른듯 싶습니다
라니안
19/11/25 00:18
수정 아이콘
2군에 수납되어서 보이지 않는다는 의미신듯 하네요

제 생각은
폼이 좋지 않은데 무리하게 강하게 던지는 케이스가 줄어들고
구속이 빨라도 제구가 안되면 의미없으니 구속을 줄이고 있는게 아닌가 싶긴하네요..
19/11/25 01:21
수정 아이콘
2군에서도 별로 보이지 않더라고요 ㅠ 그렇다 치더라도 일본은 국대 출전할만한 강속구가 꽤 많았는데 그냥 훈련방법의 차이인지 아니면 인재풀의 차이가 예전보다 더 심해진건지가 궁금한거였죠 허허
19/11/24 20:18
수정 아이콘
저게 말이되나요 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6363 [연예] (방탄) AMAs 2019 Favorite Duo/Group 수상 [1] 아사4022 19/11/25 4022 0
46362 [연예] 겨울왕국 개봉이 두려운 엄마 [56] hoho9na10721 19/11/25 10721 0
46361 [스포츠] [EPL] 간밤 셰필드 vs 맨유 주요장면.gfy [14] 낭천5857 19/11/25 5857 0
46360 [연예] . [23] 가스불을깜빡했다97237 19/11/25 97237 0
46359 [연예] 바이브가 박경측에 법적대응에 나섰습니다. [69] ZZeTa13565 19/11/25 13565 0
46358 [연예] 2019년 11월 넷째주 D-차트 : 노을 1위 & 그들의 현재 순위는? [3] Davi4ever5870 19/11/25 5870 0
46357 [연예] [우주소녀] 이루리 1주차 음방 무대 + 직캠.avi [5] VictoryFood4207 19/11/25 4207 0
46356 [연예] [러블리즈] 죽어도 이쁘다는 소리 듣고싶은 미주 VS 끝까지 딴소리하는 케이.jpg [9] 나의 연인9797 19/11/25 9797 0
46355 [스포츠] NBA 조던과 경기를 한 남아있는 현역선수.jpg [10] 김치찌개6645 19/11/25 6645 0
46354 [스포츠] NBA 커리어, 하든 vs 커리 [12] 김치찌개4551 19/11/25 4551 0
46353 [스포츠] NBA 연속게임 트리플더블.jpg [1] 김치찌개3021 19/11/25 3021 0
46352 [스포츠] NBA 희귀 기록중 하나.jpg [3] 김치찌개3588 19/11/25 3588 0
46350 [스포츠] [축구]J2리그에서 나온 만화 같은 스코어 [5] 及時雨6201 19/11/24 6201 0
46347 [연예] 기자들이 연예인들 죽이는 방법.jpg [53] 청자켓25485 19/11/24 25485 0
46346 [스포츠] [K리그1] 제주 강등 확정, 그리고 운명의 최종 38라운드... [25] ComeAgain5541 19/11/24 5541 0
46344 [연예] 가수 구하라 자택서 숨진 채 발견(1보) [238] ZZeTa31549 19/11/24 31549 0
46343 [스포츠] (주관적)AFC 역사상 역대 베스트11. [11] MBAPE5826 19/11/24 5826 0
46342 [스포츠] K리그1 강들권의 윤곽이 잡혔습니다 [1] 강가딘4023 19/11/24 4023 0
46341 [연예] [러블리즈/로켓펀치] V앱에서 쥬리 언급하는 지수 [9] 독수리의습격5226 19/11/24 5226 0
46340 [스포츠] [해축] 제 3의 전성기, 카림 벤제마.gfy [10] 손금불산입5512 19/11/24 5512 0
46339 [스포츠] [해축] 펩의 감독 커리어 최소 점유율 경기.gfy (6MB) [8] 손금불산입5699 19/11/24 5699 0
46338 [연예] 우주소녀 신곡 의상논란.twitter [28] AKbizs8645 19/11/24 8645 0
46337 [연예] 퀵소희가 배텐에 출연합니다 [3] 노랑끼파랑끼6262 19/11/24 626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