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4/02 23:05
호환성 걱정 많이 하시길래 좀 돈 더 써서라도 이렇게 가려고 합니다. 컴퓨존에서 조립비까지 내고 조립하는 걸로 102만 살짝 넘게 나오네요.
CPU: [AMD] 라이젠 5 버미어 5600 (6코어/12스레드/3.5GHz/쿨러포함/대리점정품) 멀티팩 129,900원 보급형 게이밍 CPU죠. 잘 고르셨습니다. CPU 쿨러: [DEEPCOOL] AG400 [CPU쿨러] 22,760원 고르신 쿨러도 5600 커버 가능한 걸로 보이긴 하나 싱글 타워 대세는 이 AG400이긴 합니다. 익숙하던거라 고른 거고, 원래 고르셨던 쿨러로 다시 바꾸셔도 좋습니다. 메인보드: [ASUS] PRIME A520M-A II 대원씨티에스 (AMD A520/M-ATX) 83,700원 PCIe 3.0 보드이고 M.2 방열판도 없다는 게 아쉽기는 하지만 전원부에 방열판도 달려 있어 5600 급의 CPU도 커버하면서 이렇게 싼 보드는 없습니다. 메모리: [마이크론] 마이크론 Crucial DDR4 PC4-25600 CL22 대원씨티에스 [8GB (8GB*1)] 벌크 (3200) *2 39,000원 램은 마이크론 DDR4도 꽤 안정적인 편이어서 굳이 바꿀 이유는 없어보입니다. 고사양 게임 즐긴다면 32기가도 생각해볼만한데, 그런 언급은 없어서 8기가 2개 유지해드렸습니다. 용량 고르신 거 보면'듀얼 채널' 이야기는 딱히 설명 안 드려도 아실듯 합니다. 그래픽카드: [Colorful] 지포스 RTX 4060 토마호크 DUO V5 D6 8GB 479,000원 저사양 게임, 특히 국내 온라인 게임은 지포스가 훨~씬 무난합니다. 4060 정도면 고사양 게임도 대부분 FHD에서는 약간의 옵션 타협으로 커버 가능한 만큼, 저사양 게임이라면 굳이 60 Ti 보실 이유는 없습니다. PCIe 3.0에서는 성능이 살짝 까지기는 하나 큰 영향은 없습니다. 4060은 전기도 거의 안 먹어서 1팬 제품만 피하면 거의 아무거나 가셔도 됩니다. 이번에는 7대 제조사 쪽 제품 중에서 가장 싼 제품을 골라봤네요. SSD: [솔리다임] P44 Pro M.2 NVMe 2280 [1TB TLC] 벌크 123,000원 SSD 방열판: [JIUSHARK] M.2-ONE M1 (BLACK) 5,500원 T500이 치명적 이슈가 있었고 이거 완화되는 펌웨어가 나온지 한참 되기는 했으나 적용해도 여전히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로 훨씬 무난하다는 P44 Pro로 바꿔드렸습니다. 이 쪽도 C드라이브로 쓰면 최대속도 뻥이 절반이 된다는 이슈가 있긴 하나 최대속도 뻥은 용량 차면 큰 의미가 없어서 T500이 겪은 이슈에 비하면 사소합니다. M.2 방열판은 보드에 있으면 그거 쓰는 게 좋긴 하지만 없는 관계로 비교적 내구성이 좋다는 클립형 방열판 하나 달아드렸습니다. 특히나 저발열이라는 P31 아니면 이제는 M.2 방열판도 필수긴 합니다. 용량은 유지해드렸습니다. 고사양 게임 안 한다면 500기가까지는 볼 수도 있을지도? 파워: [FSP] HYPER K PRO 80PLUS BRONZE ATX3.1 230V EU 블랙 [600W] 64,000원 5600에 4060이면 600W면 여유있고, 이 용량대에서 내실 챙기자면 FSP HYPER K가 최고입니다. 케이스: [darkFlash] DK200 RGB 강화유리 [미들타워] [블랙] 39,900원 케이스는 전면 팬 있고, 글카와 쿨러가 들어갈 정도면 충분합니다. 글카는 약간의 여유가 있어야 스크래치 같은 거 안 나고 넣을 수 있긴 하나 4060 정도면 4만원 전후의 싸구려 무난한 케이스에도 여유있게 넣을 수 있는 게 대부분이라... 예산에 여유가 있으면 강판 두께도 두꺼워서 잘 안 찌그러지고, 공진음 등 각종 잡음을 잡아주고, 팬이나 전면 단자 품질도 좋아지는 케이스를 갈 수 있기는 합니다... 다만, 데이븐이 A/S에 치명적 결함이 있어 유의하지 않으면 제품 외적으로 큰 손해를 볼 수 있는지라, 비슷한 급의 DK200으로 바꾸겠습니다. https://www.compuzone.co.kr/form/estimate.htm?est=O-7605229&mest=647c7501b417d35b056919bbc4a9c72d 정리하면 이렇게 됩니다. 다른 분들 견적과 비교해보시고 지인 분께 좋은 구매가 되었으면 합니다.
25/04/02 23:22
와.. 상세한 답변 정말 너무너무너무 감사드립니다!! 정독했습니다. 역시 예산이 문제긴 하네요ㅠ ㅠ 100까지는 어려울 수 있으서 아쉬운대로 90만원 초반대로 컴퓨존의 아래 조립pc는 어떨까요? 하드용량만 1tb로 변경하면 93만원 나와서 CPU와 GPU를 고정할 경우 금액대가 괜찮아 보여서요!
https://www.compuzone.co.kr/product/product_detail.htm?ProductNo=1216496&BigDivNo=1&MediumDivNo=1002&DivNo=4195&SearchType=Y
25/04/02 23:33
보드 전원부에 방열판이 없어서 CPU 급에 맞지 않습니다. 케이스가 제가 지적했던 그대로입니다. 가는 걸 말리고 싶네요. 지인 분 모니터가 엘지나 델로 좀 좋은 거라면 라데온 가도 이슈 덜할 걸로 보긴 한데...
25/04/02 23:43
으악 그렇군요ㅠ ㅠ 모니터는 벤큐 제품이라고 하네요. 말씀해주신 내용 그대로 이야기해주면서 가격이나 안정성이냐 선택하게 해야할 거 같습니다. 다시 한번 자세한 답변 정말정말 감사드립니다!!(_ _)
25/04/03 00:43
벤큐 정도면 괜찮은 수준이긴 합니다. 라데온 이슈로 대표적인 CVT-RB2 이슈에서 자유로운지에 대해 제가 특별히 들은 바는 없긴 합니다. 딱 저 이슈만 모니터와 연관성이 큰 라데온 이슈입니다.
나머지 불편한 점들이라 하면 국내 온라인 게임에서 성능이 덜 나온다던가, 드라이버 버전 바꿔가면서 해결할 수도 있는 자잘한 이슈들이긴 합니다.
25/04/03 01:43
(수정됨) 롤 정도만 가볍게 한다면 그냥 글카없이 8600g + b650 저렴이 구성으로 가도 됩니다. 조립비 포함 70만원초중반 정도 나오겠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