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1/22 10:45
하얀 건 화면이고 검은 건 글자고...... (코딩 1도 모르는 문돌이)
그나저나 오리지널 코스타 그립네요. 3d?로 나온world인가 그건 어우 못하겠더라고요.
25/01/22 10:50
예를 들어 CPU가 택배 차이고 임무는 쌀 배달이며 수행되는 기계어 코드가 배송 계획이라고 했을 때, 고급 언어로 배송 계획을 짠다면 택배 차가 자전거인지 트럭인지에 따라 한 집씩 왕복하면서 배달할지 한 번 싣고 동네를 돌지를 컴파일러가 알아서 판단한다. 하지만 어셈블리어로 직접 코딩한다면 택배 차가 자전거이든 트럭이든지와는 별개로 배송하는 방법도 프로그래머가 결정해야 한다. 왜냐하면, 고급 언어에서는 배송 계획을 짤 때 프로그래머가 '쌀을 쌀집에서 온 동네에 배송한다'라고 추상적으로 지시하지만 어셈블리어에서는 '쌀 하나를 싣는다. 100호를 간다. 100호에 도착해서 쌀을 내려놓는다. 쌀집으로 돌아온다. 쌀 하나를 싣는다. 101호를 간다...'라고 구체적으로 지시해야 하기 때문이다.
라고 나무위키가 설명해주네요 덜덜덜
25/01/22 16:15
쉽게 설명한 것이고, 사실은 걷는다 => 오른다리를 든다, 앞으로 내민다, 오른다리를 내린다, 왼다리를 든다, 왼다리를 내민다, 왼다리를 내린다... 의 수준이라고 보면 될 것같습니다. 기계어는 오른다리를 든다 => 오른다리의 어떤 근육을 수축한다. 정도로 더 쪼갠 것이구요.
25/01/22 10:52
코딩 언어가 일본어 할 줄 모르는 한국 사람이 일본어 보는 느낌일 수 있을 것 같더라구요.
자세히 들여다보면 한자도 있고 느낌은 오는데, 일단 들여다 보기가 싫음. 물론 배우고 보면 이해가 갑니다. 그렇다고 또 잘 쓸 수 있냐는 별개의 이야기이고.
25/01/22 11:04
사실 안철수가 정치인으로서야 비웃음거리지, 개인 능력만 보면 프로그래밍과 의학이라는 한 가지만 정통해도 쉽지 않은 분야의 전문가긴 하죠 크크
25/01/22 10:59
폰 노이만:
형은 기계어로 프로그램 만들었다 어셈블리? 어세에에에엠블리이이이이? 이것들이 빠져가지고 인생을 날로 먹으려고 하지? (대충 실제로 한 말)
25/01/22 11:11
AI에게 "'어셈블리어로 롤러코스터 타이쿤 게임을 만들기'가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 프로그래밍과 코딩을 전혀 모르는 사람에게 설명해달라고 부탁했습니다.
어셈블리어로 롤러코스터 타이쿤 같은 복잡한 게임을 만드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일상적인 비유를 들어보겠습니다. 이것은 마치 레고 블록으로 실제 크기의 롤러코스터를 만드는 것과 비슷합니다. 하지만 일반 레고가 아니라: 1. 오직 1x1 크기의 가장 작은 레고 블록만 사용해야 합니다 2. 설명서는 전혀 없습니다 3. 블록을 쌓을 때 각각의 블록 위치를 수학 공식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4. 모든 블록의 정확한 좌표를 일일이 손으로 기록해야 합니다 5. 한 블록이라도 잘못 놓으면 전체가 무너질 수 있습니다 - 일반 프로그래밍 언어로 게임을 만드는 것이 "레시피를 보고 요리하는 것"이라면 - 어셈블리어로 만드는 것은 "각 재료의 분자 구조부터 직접 만들어서 요리하는 것"과 같습니다 - 일반 프로그래밍 언어가 "자동차를 운전하는 것"이라면 - 어셈블리어는 "자동차의 모든 부품을 직접 만들고 조립한 뒤에야 운전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어셈블리어로 롤러코스터 타이쿤을 만드는 것은 마치 손으로 직접 모든 부품을 만들어 초대형 롤러코스터를 건설하는 것과 같습니다.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는 것은 미리 만들어진 부품을 조립하는 것과 같습니다. 반면, 어셈블리어는 모래와 철광석부터 시작해 모든 부품을 직접 만들어야 합니다. 각 나사와 볼트, 심지어 페인트 한 방울까지 직접 만들고 조절해야 합니다. 어셈블리어는 컴퓨터의 가장 기본적인 명령어를 다루기 때문에 이처럼 세밀한 제어가 필요합니다. 또한 모두 조립하고 완성하기 전 까지는 문제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알 수 없으며, 완성 후에 문제가 생기면 여태까지 해왔던 수백만 개의 작업 들 중 어느 것이 잘못되었는지 일일히 찾아내서 고쳐야 합니다. 게다가 인터넷도 없어 모든 것을 혼자 해결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25/01/22 11:27
함수없는게 엄청 불편하겠네요. 근데 옛날처럼 보안이 없으면 꽤 다른 느낌일지도. 한 20년전 C에서 asm구문으로 비디오 메모리에 그림 바로 올려서 속도 올리기 이런 꼼수들을 본거같은...
25/01/22 11:43
1980~90년대 초반까지의 게임 상당수......까지는 아닐지 몰라도, 적지 않은 수가 어셈블리어로 짜여졌던 거 같은데......
25/01/22 15:02
그때는 하드웨어 한계로 어쩔 수 없었을겁니다.
그런데 롤러코스터 나올때는 나름 윈도우 시절이라 그렇게까지 안해도 되는것을.....
25/01/22 12:06
어셈블리어로 짠다고 해서 모든 opcode를 하나씩 따져가면서 작성하지는 않습니다
어셈블리로 프로그래램을 짤 때 가장 큰 장점은 메모리를 직잡 하나하나 관리해서 최적화할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가장 큰 단점은 메모리를 하나 하나 관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25/01/22 12:08
사실 저 어셈코드 너무나 명확해서 오히려 깔끔하게 느껴집니다.
하이레벨 언어로 갈 수록 컴파일러에게 너무 의지하는 경향이 있는데, AI 시대로 넘어가면서 한층 더 ... 뭐.. 필요에 따라서라고 할 수 있겠지만..
25/01/22 12:17
솔찍히 말해서 저 게임을 만든것이 대단하지 어쎔을 쓴것이 그렇게 대단한 일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저 시절에는 컴파일러 최적화가 덜되서 일부로 어쎔을 쓰곤했으니까요... 오히려 어쎔을 안쓰면 저정도 퍼포먼스가 안나오는 경우도...
+ 25/01/22 18:49
어셈부터 하던 사람들에겐 그다지.. 그냥 편리하지만 믿음직하지 않은 언어였죠
C언어의 강점은 HW의존성이 없어진 것이 오히려 큽니다.
25/01/22 13:35
80년대에 학생과 컴퓨터였나.. 컴퓨터잡지 사면 SPC-1000 소프트웨어 공모전 입상한 프로그램 풀소스를 프린트(?)한 걸 부록으로 줬었죠. 대부분 소스가 BASIC이긴 했는데, 일부 게임들은 어셈블리도 아니고 기계어 덤프(?)였는데.. 당시 시골마을 살아서 안그래도 프로그램 없던 SPC-1000이라 재밌어 보이는 게임 몇주씩 소스 타이핑해서 즐겼던 기억이 나네요. 기계어 코드는 동생이 옆에서 읽어주면 제가 입력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는데... 경상도 살아서 2E, EE, E2, 22 같은 16진수 구술해도 다 구별이 되어서 다행이었네요.
+ 25/01/22 17:57
당시는 선생님들이 오락실 불시단속도 하던 시절이라서 나름 게임을 집에서 안전하게 즐기기 위한 몸부림이었죠.
기계어 덤프로 A4지 열페이지도 넘던 게임 기계어덤프 동생이 부르고 제가 입력해서 잘 실행되면 다행인데.. 보통은 실행 안되는게 다반사에 고급언어가 아니라 디버깅할 수 있는 방법도 없었어요. 실행 안되면 처음부터 다시 일일히 틀린거 없는지 비교하는 수 밖에.. 몇넌 전인가 e^2, 2^e 발음 논란일 때 살짝 놀랐네요. 당연히 구별되는 건 줄 알았는데. 크크크
+ 25/01/22 18:46
제가 소시적에 SPC1500을 집에서 썼는데, 아빠가 그 비슷한 책을 어서 구해왔습니다. 근데 울 아빠가 그거 보고 의욕에 불타더니, 저와 제 동생 셋이서 이걸 한번 쳐서 프로그램을 우리가 맨들어보자 하는거에요. 막 수천행짜리들도 있었는데, 그나마 좀 짧아보이는 1800행짜리로 주말하루 날잡고 시작했죠. 컴맹 아조시하고 꼬꼬마 둘이니 진짜 하루 죙일 걸렸는데, 다 입력하고 [카세트테이프] 에 저장하고 실행시키니 안되더라구요. 저하고 아빠하고 이걸 어떻게 입력하느냐, 하는거 갖고 의견차이가 하나 있었는데, 그거 때문에 안된거라고 하루죙일 타박하시던.
25/01/22 14:09
어셈블리라고 다 저렇지 않습니다.
어차피 다 모듈화 가능해서 c 비슷하게 개발할 수 있습니다. 물론 그렇다고 어셈블리로 모두 다 개발하는게 쉬운건 절대 아닙니다만...
|